사춘기 시절에 당연한 것이라 치부되기도 한다. 맞는 말이기도 하면서 아니기도 하다. 청소년 우울증은 성인들의 우울증과 마찬가지로 심해질 수 있는 부분인지라 가볍게 생각하고 넘기기는 무리가 있다.
물론 사춘기에 필연적으로 찾아오는 것이기도 해서 너무 심각하게 치부해버리면 그것도 문제가 되고 너무 가볍게 치부해버려도 문제가 되어서 어떤 증상과 특징을 보이는지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부모의 입장에서는 나름 아이를 도와주기 위해 자꾸 개입하려 드는데 그건 좋지 못하다. 개입보다는 더욱이 아이를 존중해주려는 태도가 가장 필요하다고 볼 수 있겠다.
그러면서 아이가 필요하다면 아이가 하는 말을 '들어주는 것'만이 필요하다. 그 이상으로 조언을 해주려는 것은 잔소리일 뿐이다. 조언도 아이가 조언이 필요하다고 먼저 말할 때 해줘야 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것들이 청소년 우울증의 증상이라 할 수 있겠다. 여기서 부모가 해야 될 지침으로 요구되는 사항들이 있는데 앞서도 말했듯이 그것을 완벽히 소화해낼 부모는 사실 '드물다.' 위의 증상들은 부모가 봐야 할 것이 아니라 '당사자'가 봐야할 것이다.
부모의 시선으로 아이를 이해하기는 쉽지 않다. 부모가 해야 할 것은 아이에 대한 존중과 배려일 뿐이다. 그 이상은 앞서도 말했듯이 간섭이다.
아이가 우울한 것이 '부모 때문일 수도' 있다. 해서 부모 입장에서 원인이 부모에 있다고 생각되면 부모가 바뀌는 것이 먼저이다. 물론 이를 알기란 어렵다.
때문에 부모인 사람이 이 글을 보고 있다면 자녀가 우울해 보이는 것에 대해서 개입은 절대 금물이다. 자녀를 존중해주는 것에 초점을 둬보자.
왜냐면 청소년이 우울한 원인에 대한 통계가 있는데 1위가 학교 생활에 대한 부분이지만 2위는 바로 '가족'이다.
만약 자녀의 우울감을 회복시켜주고 싶다면 부모가 스스로 개입하려 하지 말고 '병원'을 찾아가 전문의의 상담을 받고 진행하도록 해야할 것이다. 아이를 병원에 보낸다는 게 아니라 부모가 스스로 병원에 가서 상담을 받고 진행하고 아이의 의사가 있다면 병원 치료를 받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우울증이 심한 경우라면 당연히 병원 치료가 필요하다. 스스로 감내하기 힘들 정도의 수준이라면 부모님에게 부탁해서 병원 치료를 받아보는 것이 가장 빠를 것이다.
그 외로 경미한 수준이거나 극복할 의지가 미약하게나마 있다면 우울증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가장 좋은 것이 있다..
'집'에 있는 시간보다 '밖으로 나가 있는 시간'이 많아야 한다. 기본적으로 학교 생활을 하기 때문에 당연히 밖에 있는 시간이 많지만, 이후 여가 시간도 밖으로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다만, 청소년에게는 밖으로 나가는 이유가 학원 아니면 운동밖에 없다. 때문에 '운동'을 하는 것이 가장 좋다고 보면 되는데 운동이라는 것이 꼭 힘을 쓰는 운동을 말하는 건 아니다. 밖으로 나가 단순히 걷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
돈과 행복의 상관관계 행복한 부자와 불행한 돈의 노예 (1) | 2022.09.07 |
---|---|
남중 남고 공대 군대 공장 여중 여고 여대 특징 연애 그들은 정말 마법사일까 (0) | 2022.09.07 |
주식중독 증상과 테스트 누구나 할 수 있는 만큼 조심해야 하고 빠져있다면 치료는 필수적 (1) | 2022.09.02 |
아스퍼거 장애 증상 원인 대인관계 형성이 어렵다 (0) | 2022.09.02 |
노출증 증상과 원인 그리고 자가진단 쾌감을 위한 잘못된 심리 (0) | 2022.08.30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