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아스퍼거 장애 증상 원인 대인관계 형성이 어렵다

에세이essay

by 힘들때전화해 2022. 9. 2. 09:19

본문

반응형

쉽게 말하면 사회성 부분에 문제가 있는 것을 말한다. '아스퍼거 장애'는 대인관계를 형성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데 관심을 두는 것이나 행동 등이 한정적이며 이 같은 한정적인 생활을 반복적으로 보인다.

때문에 사회성이 부족하게 되고 사회활동에 있어서도 어려움을 겪는다. 그러나 언어발달에 관해서는 두드러지게 떨어지지 않는다.

해서 아스퍼거 장애는 '자폐증'과는 다르다고 볼 수 있는데 자폐증의 경우는 어릴 때 언어 발달에 지연이 있다는 것이 특징이지만, 아스퍼거 장애는 그렇지는 않다.

 

(1) 언어발달에는 문제가 없지만 의사소통이 떨어진다.

특징이자 증상이라고 할 수 있다. 아스퍼거 장애는 앞서 말했듯이 언어발달 지연은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언어 사용이 다소 일반적이지 못하다는 것이 특징인데 말을 할 때 상당히 현학적이거나 우회적인 표현들을 많이 사용한다.

해서 의사소통이 불가능한 것도 아니고 의사소통은 가능하긴 하지만, 원활하진 못하다. 이해를 못 해서 그런 게 아니라 표현하는 것 자체가 일반적이지 않다는 것이다.

그래서 의사소통의 실용적인 부분에 있어서 떨어지는 모습을 보인다.

쉽게 말해서 다소 특이한 단어들을 사용한다거나 자신의 생각을 말하는데 있어 타인이 이해하기 어렵게 말하는 것 등과 비슷하다.

 

(2) 원인

명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유전, 출산할 때의 영향, 신경학적 요소 등이 원인으로 이야기되고 있다. 역시 무시할 수 없는 건 '유전'으로 가족 중에 아스퍼거 증후군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출산 시 영향은 '저산소증'이나 출산 전후로 '합병증'이 있었을 경우이다.

해서 가족 중에 아스퍼거 증후군이 있는지를 먼저 살피는 것이 필요하겠다.

 

(3) 증상

몸을 사용하게 되는 운동기능 부분에서 둔한 느낌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리고 아동들은 좀 더 잘 두드러지는데 타인과 있는 것을 좋아하며 말하는 것도 좋아하지만 대화의 실용성 부분이 떨어진다.

말을 할 때 운율도 떨어지고 말을 할 때 말하는 것이나 말하는 내용이 과장된 느낌도 많이 준다. 아동이나 성인이나 마찬가지이다.

그래서 말에 신빙성이 떨어지거나 다소 눈치가 없게 보이기도 한다. 눈치가 있어도 말 하는 걸 보면 눈치 없게 보이기 때문이다.

또한, 의사소통을 할 때 표정이나 몸짓이 많이 없는 것도 특징적이다.

 

- 특정 주제에 집착

보통 이야기 주제는 자신이 집착하고 있는 주제에 대해서만 집중되어있는 것도 특징인데 대화를 해보면 항상 똑같은 얘기를 혼자만 신나서 하거나 상대는 관심도 없고 알아듣지도 못하는 말을 계속해서 하는 경향을 보인다.

앞서 말을 많이 한다고 했는데 말을 많이 하기도 하고 말을 너무 적게 하는 경향도 있다. 아스퍼거 증후군마다 차이가 좀 있다.

정리해서 의사소통에 좀 문제가 두드러지게 보인다.

말에 억양도 이상하며 문맥과는 관계없는 이상한 단어를 사용하고 반복하기도 하며 일반적인 사람이 듣기엔 좀 특이한 말을 하기도 한다.

대인관계를 맺는 것에는 관심이 있어도 상호교류가 잘 안 되는 것이 특징적.

 

- 실사례

실제로도 이런 사람들은 꽤 여러 번 접해봤다. 아주 가까이 있는 사람도 있다. 그중에 한 두 명은 부모가 관심을 두어 적절히 케어를 받는 친구도 있었고 전혀 자신에겐 이상이 없다 생각하는 사람들이 지배적이긴 했다.

친인척 중에도 있는데 타인의 기분은 전혀 고려하지 못하고 항상 본인 하고 싶은 말만 꺼내는데 눈치가 없게 보이기도 하고 다른 한 명은 굉장히 말을 늘어뜨려 놓는데 혼자만의 어떤 철학에 매우 집착하는 경향을 보인다.

하지만 두 사람 모두 본인에게 문제가 있음을 알지 못한다.

근데 그게 유전이 되었는지, 자식들도 비슷했고 그 자식이 아이를 낳았는데 자폐증 바로 전 단계로 진단이 되었다.

물론 자폐증과 아스퍼거 증후군은 다르지만 문제는 자신들이 갖고 있는 문제에 대해서 인지 자체를 못하고 있어 자식들이 왜 그런 것인지를 알지 못한다는 것이 문제라고 할 수 있겠고 이건 몇 세대가 지나도 동일하다는 것이 악순환이기 때문에 역시 부모의 관심이 가장 중요하며 부모가 스스로에 대해 인정해야 하는 것이 가장 해결책에 가까울 것이다.

아스퍼거 증후군은 아이일 때 이를 부모가 캐치해서 적극적인 치료와 케어를 해주지 못한다면 아이는 그 상태 그대로 성인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