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래 게임에서만 사용되었었는데 지금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쌀먹'의 뜻이 적용되는 부분이 많기 때문인데 사실 쌀먹을 정말 밥 먹듯이 쓰는 게 아니면 정확히 무슨 개념인지 알아야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먼저게임 속에서 사용되는 '쌀먹'은 게임 내 재화나 아이템을 '현금 거래'하는 것을 말한다. 즉, 게임 플레이로 돈 벌어먹고 사는 사람들을 보고 '쌀먹충'이라고 하기도 한다.
그래서 '쌀먹'이 무슨 줄임말이냐, '쌀 사 먹는다.'라는 것으로 '날먹'과 헷갈릴 수 있지만 뜻은 앞서 말했듯이 전혀 다르다.
기본적으로 긍정적인 의미를 지닌 신조어는 전혀 아니고 부정적이고 비하의 용도이다.
우리가 생활을 하려면 밥을 먹어야 한다. 그리고 한국인의 주식은 '쌀'이다. '쌀'이 갖고 있는 상징성 그대로이다. 해서 '쌀먹'이다.
물론 유래는 '월드오브워크래프트'라는 온라인게임에서 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고 그 당시에는 게임 현금 거래가 매우 활발했던 시기라서 인기 온라인게임들은 다 쌀먹이 있었다.
지금이야 '작업장'의 문제들이 더욱이 커지면서 '귀속템'도 생겨나고 '현금 거래'가 곧 계정 정지로 이어지는 강력한 규제들이 생기고 계속 생겨날 것으로 전망되지만 당시에는 그야말로 황무지였고 사실상 다 '초창기'였기에 '와우' 뿐만이 아니라 뭐 '메이플스토리', '던전앤파이터', '리니지', '마비노기' 등등등 현금거래가 매우 활발했던 온라인게임들이 있다.
나도 대학생 때 던파로 용돈벌이를 했었다. 물론 작업장인 건 아니고 개인이 그냥.
용돈이 부족했고 대학교가 집하고 거리가 너무 멀어서 알바도 힘들었던 때이다. 나 말고도 많은 친구들이 다 게임으로 용돈벌이를 하곤 했었다.
아무튼 지금으로써 현금 거래, 작업장, 쌀먹은 상당히 좋지 않은 시선이고 좋지 않은 걸 넘어 그냥 '문제'이다.
그래서 '쌀먹'이 비하 용어인 것이다.
열심히 밥벌이 한다는 의미가 아니라 비꼬는 용어이다. 장난식으로 쌀먹이라 표현해도 그것도 좋은 의미가 전혀 아닌 것이다.
왜냐, '쌀먹'이 많아지면 게임 내 환경이 박살 나기 때문이다. 요즘 게임들 보면 게임성이 없는 게임들이 넘쳐나는 것을 볼 수 있을 것이다. 게임성보다 오롯이 'BM구조'를 기조로 하는 게임들이 넘쳐나기 때문인데 그런 게임들을 보면 어떤 생각이 드는가. 그런 비슷한 느낌이다.
이런 것처럼 게임을 플레이하는 게 아니라 쌀먹만 하는 사람들이 많아지면 게임 환경이 박살나게 된다. 현금 거래가 많아지면 어마무시한 문제점들이 발현이 되는데 예를 들어 재화나 아이템이 너무 많이 풀리게 되면서 재화나 아이템의 가치가 급속도로 떨어지기도 하며 게임사 입장에서도 서버 용량만 늘어나고 이윤은 없거나 하는 둥, 매우 많은 문제를 낳는다. 지금은 이를 유저들도 다 알고 있기 때문에 '쌀먹'을 좋게 보지 않는 것이다.
게임 말고도 여러 모로 적용이 가능한데 예를 들어 주최자가 대회에 참가해서 우승을 해 상금을 받았을 때 장난식으로 '쌀먹 했네'라고 표현할 수도 있다.
장기연애 이별 이유 해석 그리고 몇 년이 기준인가 (0) | 2025.04.09 |
---|---|
매력적인 사람 특징 6가지 매력있는 이유 (0) | 2025.04.09 |
결혼식 하객 복장 남자 여자 양복도 무엇도 필요 없고 단정하게 만 입으면 끝난다 (0) | 2025.04.04 |
타우린 하루 권장량 과다 섭취 부작용 적당하면 이롭다 (0) | 2025.04.03 |
탈모에 좋은 음식 20가지 두피와 모발의 건강을 좋게 한다 (0) | 2025.03.16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