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서만 그런 게 아니라 전 세계 공통으로 월요병이라는 게 있다. 당연히 '질병'을 이야기하는 것은 아니고 우리가 만들어낸 말이다.
그만큼 월요일에 느끼는 감정이 더 힘들다는 것인데 이는 우리의 생활 자체가 월화수목금은 일하고 토일은 쉬는 것에 맞춰져 있기 때문이다.
월요병을 느끼는 것은 '일요일'과 '월요일'이 상당히 '대조적'이기 때문이다. 일요일은 토요일과도 다르다. 일요일은 '완전하게 쉬는 날'이다. 보통 금토 신나게 놀고 일요일은 집에서 푹 쉬는 게 통상적이다.
때문에 일요일이 되면 완전히 풀려서 아무 생각 없이 쉬게 되는데 월요일이 되면 출근을 하거나 일을 해야 한다. 백수라고 해도 일요일과 월요일은 심리적으로 느끼는 게 다르다.
아무리 백수라고 해도 구분이 없진 않다. 평일에는 사람들이 바쁘게 움직이고 일요일에는 느슨함이 있기 때문이다.
생활을 안할 것도 아니고 우리는 월요병을 극복해야만 한다. 그 방법들로 무엇이 있는지 알려주도록 하겠다. 효과적인 걸 찾아 해 보면 상당히 도움이 될 것이다.
아침을 안 먹는 사람이라도 월요일만큼은 아침을 챙겨 먹자. 연어에는 오메가3 지방산이 풍부하다. 아침 식사로 간출하게 연어를 조금 먹어주면 기분이 다운되는 것을 막아주고 기분을 좋게 해 준다.
연어가 거창하면 '호두'를 먹으면 된다. 호두 역시도 오메가3 지방산이 풍부하다. 뇌를 활성화시켜주고 기분도 진정시켜준다. 호두는 먹는 방법이 다양하다. 시리얼에 타서 먹어도 되고 생으로 먹어도 된다.
식사가 힘들면 호두라도 먹어주자.
일요일 저녁 아주 잠깐이면 된다. 5분, 10분 정도만 시간을 내서 자기 전에 월요일에 해야 할 일들을 직접 손으로 적어라. 물론 스마트폰이나 컴퓨터로 타이핑해도 된다.
월요일에 할 일들을 '각인'시키는 게 맹점인 방법으로 월요일에 맞닥뜨릴 일들에 대한 스트레스를 감소시켜준다.
예를 들어 직장인이면 "아침에 OO시에 일어나 준비를 하고 OO시가 되면 출근을 한다. 이 날은 출근해서 OO부터 해야 한다. 그리고 업무를 보고 퇴근 시간까지 마쳐야 할 일들을 한다."와 같은 식으로 해야 하는 일에 대해 생각나는 대로 나열하는 것이다. 잘 쓸 필요 없고 그냥 나열만 하면 된다.
이것만 해줘도 월요병을 예방할 수 있다.
월요병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일요일에 만족감'을 느껴야 한다. 무언가를 열심히 하는 것도 좋지만, 일요일인데 그게 쉽지 않다. 해서 알차게 일요일을 보내지 않더라도 하루 종일 누워서 영화를 보든지, 드라마를 보든지, 게임을 하던지 뭐든 좋으니까 뭐라도 해서 만족감을 얻어야 한다.
일요일을 힘들게 보내선 안된다. 그렇게 되면 충분한 만족을 느끼지 못해 월요일에 대한 거부감이 더 커진다. 물론 일요일에 조금 일을 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일요일부터 일을 하게 되면 한 주가 너무 고될 수 있다.
때문에 일요일에는 푹 쉬어주되, 넋 놓고 쉬기보다는 일요일이란 시간 동안 가득 채워 무언가를 하도록 하자. 그 무언가는 꼭 생산적이거나 활동적이지 않아도 된다. 영화를 종일 보는 것도 괜찮다.
일요일에 컨디션 유지를 어떻게 하는가가 월요병을 좌지우지한다. 우리가 왜 '불금'이란 표현을 할까. 금요일 저녁엔 몸이 힘들어도 토요일과 일요일이 남아있기 때문에 충분한 회복 시간을 갖기 때문에 부담이 없는 것이다.
근데 일요일을 불금처럼 놀아버리면 다음날인 월요일이 고되다. 이는 월요병을 유발하는 원인이 된다.
때문에 일요일에는 '최상의 몸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먹고 싶은 것을 먹기보다 소화가 잘 되는 음식 위주로 식사를 하고 과일과 야채를 간식으로 먹도록 한다.
과일과 야채에는 비타민이 많고 소화를 도와주어 피로를 회복시켜주는 것들이 많아 몸을 가볍게 만들어 준다. 사실 일요일에 '소식'하는 게 가장 좋은데 힘든 부분이 있기 때문에 최소한 소화가 잘 되는 음식으로 먹고 과일과 야채를 먹으라 권장하는 것이다.
은행잎 효능 추출물이나 효소도 마찬가지인 효과 (1) | 2022.08.10 |
---|---|
위염에 좋은 차 7가지 챙겨마셔 보자 (1) | 2022.08.09 |
놀이공원 노점 심리테스트 어떤 가게를 열어 장사할까 (1) | 2022.08.02 |
첫직장 취업준비 방법이 뭘까 현실을 알면 노하우가 생긴다 (1) | 2022.08.02 |
파이어족 금액 얼마나 있어야 할까 뜻과 자금 알아보기 (1) | 2022.08.02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