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선택적 함묵증 성격의 문제가 아니라 특정 상황에서 말을 잘 못하는 불안장애의 일종

민간정보info

by 힘들때전화해 2025. 10. 17. 23:13

본문

반응형

많이 알려진 불안장애는 아니지만 설명을 보면 뭔지 바로 알 수 있는 불안장애의 일종이다. 선택적 함묵증이란 '특정 상황'에서 말을 잘하지 못하는 것을 말한다.

 

즉, 평소에는 문제없이 말을 잘 하지만 특정 장소라던가 특정 인물이 있다거나 할 때 불안감을 극심하게 느끼게 되어 말을 잘 못하게 되는 것이다.

 

해서 스스로가 의도적으로 침묵하는 것이 아닌, 불안감으로 인한 경직 반응을 보이는 것이다.

 

 

 

- 발생하는 이유는 다양하다

다양한 원인이 있다. 자존감이 낮아서 발생하기도 하고 말 그대로 불안감이 높아서 발생하기도 한다. 불안을 잘 느끼는 것이 이유라고 할 수 있겠다.

 

어떤 상황에서 불안감이 급격히 높아져서 발생하게 된다.

 

그 외로도 많다. 억압된 가정 환경에서 자라왔거나 자주 잔소리와 꾸중을 받는 둥, 편안하지 못한 상황에서 성장해 온 것이 원인일 수 있다.

 

어린 시절 부모이 과잉보호 때문에도 나타날 수 있다.

 

 

 

 

- 성격의 문제가 아니다

이는 언어 발달이나 청각 문제와는 다른 것으로 전혀 다른 질환이다. 앞서 내성적인 부분도 원인이 될 수 있다고는 했지만 그렇다고 해서 성격적인 문제인 것은 아니다.

 

계속 말했듯이 '불안감'에서 오는 증상이다.

 

예를 들어 집에선 말을 잘 하는데잘하는데 밖에서는 말을 잘 못하는 것도 선택적 함묵증이고 반대로 밖에서는 말을 잘하는데 집에서는 말을 못 하는 것도 동일하다.

 

즉, 극심한 불안을 느끼게 하는 요소 때문에 침묵을 하는 것이라 그 원인이 무엇인지가 중요하다.

 

이런 상태에서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 말보다 몸짓으로 표현하게 되는 경우들도 생긴다.

 

 

 

 

- 일반적으로 보면 결국 적응이 필요하다

다양한 상황들이 있고 그것이 원인이 될 수 있다. 사회적인 경험에서 어떠한 사건들이 있었고 그것이 크나큰 불안을 유발하게될 정도로 트라우마가 되었다거나 하는 둥, 맹점은 불안감이 높아지게 만드는 것이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이런 사람 경험해본적이 있을 것이다. 단순히 화가 많다거나 그런 문제가 아니라 어떠한 말을 해도 통하지 않고 정말 예상치 못한 부분에서 갑자기 화를 낸다거나 하는 둥, 이런 사람과 오래 지내왔거나 그런 사람에게서 느낀 좌절감이 트라우마가 되어 그 사람과 그런 비슷한 성향의 사람들을 볼 때 말이 잘 안 나오게 되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이것을 극복하기 위해선 반복적으로 해당 상황에 노출되면서 점점더 말하는 것을 늘려간다거나 일상생활 자체가 힘든 수준이면 약물치료가 있을 수도 있다. 물론 이것은 병원에 가서 전문의의 상담을 받아봐야 한다.

 

사실 치료 시기가 빠를 수록 좋다고 알려져 있다. 대게 어릴 때 이것이 발생하기 쉽기 때문이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