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과로사 증상 원인을 알고 전조 증세 살펴보자

에세이essay

by 힘들때전화해 2023. 6. 6. 04:35

본문

반응형

과로사는 의학용어는 아니다. 과로사는 과로 때문에 죽음까지 이르는 경우를 말하는데 과로로 인해 발병하는 병들이 있고 그 병들로 인해 사망했을 경우 과로사라고 지칭하는 것이다.

과로가 이어져서 생겨날 수 있는 병들은 많이 있다. 뇌졸중, 심근경색, 고혈압 등등 수많은 병들이 있다.

이러한 병들이 과로로 인해서 발병하기도 하지만, 과로로 인해 더 심해지는 경우도 생긴다고 보면 된다. 해서 과로사의 증상은 무엇인지 알고 있으면 전조증상을 체크해 볼 수 있다.

열심히 일을 해도 그만큼 잘 쉬어주고 행복감과 만족감을 느낄 수 있으면 괜찮은데 우리는 그게 잘 안되고 무작정 밀어붙이는 경향이 있다.

즉, 올바른 방법으로 피로를 다스리지 않고 그저 꾹 참고 견디는 것에만 초점을 두기 쉽다는 것이다. 왜냐면 만족감을 느끼고 스트레스를 어떻게 풀어주어야 하는지에 대해 교육받지 못했기 때문이다. 대부분 그냥 가정에서부터 시작해서 모르는 사람들이 더 많다.

때문에 과로사 증상을 꼭 알아둬야 한다. 최소 이것으로 인해 병이 생기거나 말 그대로 사망하는 일이 없도록 해야하기 때문이다.

 

 

- 과로사 전조 증상

심한 코골이 충분하게 쉬어도 피로가 풀리지 않는다. 잦은 두통
호흡장애 현기증을 자주 느낀다. 몸에 힘이 잘 안들어간다.
집중력이 떨어진다. 눈앞이 흐릿한 증상이 있다. 뒷목이 뻐근한 게 안사라진다.
소변이 너무 자주 마렵다. 아랫배가 자주 아프다. 정서적으로 불안정하다.
깊고 길게 자는 숙면이 잘 안된다. 아침에 몸이 너무 무겁다. 고혈압

과로사는 40대 이상에서 많이 발생된다고 하지만, 사실 20~30대도 마찬가지이다. 맹점은 잘못된 스트레스 해소 방법과 건강을 챙기지 않는 것이다. 현실적으로 어쩔 수 없는 부분도 있지만 반드시 나에게 맞는 스트레스 해소법을 찾아야만 하고 건강을 최우선을 해야 한다. 하루하루 버텨내기 위해서 매일 자기 전에 술을 마신다던가, 수시로 흡연을 하거나 커피를 마시고 내가 할 수 있는 한계치 이상으로 일을 하고 있는 것 등이 이 현실을 살아가기 위해 억지로 버텨내기 위해서 하는 행위들일 것이다.

 

 

1. 푹 쉬어도 피로함은 사라지지 않는다.

흔히 만성피로와 혼동한다. 대부분은 그냥 만성피로로 생각하면서 방치하게 되는 게 사실이다. "그냥 뭐... 어쩔 수 없지."라고 생각하며 방치하는데 과로사의 전조 증상이기도 하다.

푹 자고 푹 쉬어도 피로가 완전히 풀리지도 않고 아침에 일어날 때면 정말 너무 몸이 무거워서 개운함을 느낀지가 언제인지도 생각도 안 난다.

몸에는 힘이 빠져서 항상 에너지음료나 커피를 즐겨마시고 눈은 침침하니까 눈에 좋은 영양제를 달고 산다.

※'과로사'의 핵심은 매일 생겨나는 피로를 매일 풀어주지 못하는 것이다. 즉, 불규칙한 생활이나 충분하고 올바른 휴식을 취하지 못해서 피로가 사라지지 않고 매일매일 조금씩 축적된 것이라 생각하면 된다.

 

 

 

2. 숨쉬기가 힘들어진다.

심장의 기능이 약해지는 것도 있고 호흡이 원활하지 않은 것도 증상이다. 가슴이 답답하고 숨을 쉬는 게 어려워진다. 심장에 통증이 생기는 것도 특징이다. 심장 통증이 지속된다면 반드시 병원을 찾아가 봐야 한다.

숨을 쉬는 게 힘들어지다 보니까 입으로 숨을 쉬려는 특징들도 보인다. 그래서 특히 잠을 잘 때 입을 벌리고 자는 경우들이 생긴다. 아침에 일어났는데 입을 벌리고 있어서 침을 흘렸다던가, 목이 너무 아프거나 한다면 의심해 보자.

※과로사를 예방하기 위한 생활 수칙으로는 가장 먼저 일하는 시간과 휴식이 명확히 구분이 되어야 하고 둘 다 충분하게 시간이 부여되어야 한다. 즉, 일은 일이고 휴식은 휴식이란 말인데 확실히 구분하면서 받아들이는 방식이 중요하다. 일은 나의 삶을 더 윤택하게 해주는 것이라 생각해야 하며 휴식은 무엇을 하든지 부정적인 것보다 긍정적인 부분으로 받아들여야 나에게 맞는 휴식을 취할 수 있게 된다. 즉, '절대적 긍정적으로 생각해봐야 한다는 것'이다. 이것을 얻지 못하고 무작정 밀어붙이기만 하면 신체적으로도 정신적으로도 위험하다고 할 수 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