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고양이 이름 추천 50가지 남자 여자 구분 없이 모음집

기타

by 힘들때전화해 2022. 11. 27. 01:00

본문

반응형

애완동물의 이름이라는 건 보통 주인이 알고 있는 명칭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추억이 있다거나 재밌어했던 이름이나 그냥 고양이를 보고 연상된 이름이라던가... 그러한 것들을 하기도 하지만, 딱히 떠오르는 게 없는 경우들도 있다.

해서 고양이의 이름을 지어주는 것이 애매한 사람들이 있을텐데 이럴 때는 여러 단어들을 보고 마음에 들거나 응용해서 만드는 것이 가장 좋다고 할 수 있다.

아래는 추천되는 고양이 이름이다. 읽어보고 괜찮은 걸 선택하면 되겠다.

여자 고양이, 남자 고양이 관계 없이 50가지를 모아보았고 이중에는 정말 많이 사용되는 이름들도 포함되어 있고 많이 안 쓰는 이름도 포함되어있다.

두 글자 이상은 포함하지 않았다. 어차피 '~이', '~야'라고 부르기 때문에 글자 수가 더 붙고 뭣보다 가장 정감 가는 게 두 글자이다.

서양권에서는 '시리우스' 같이 3글자 이상으로 짓는 경우도 많은데 그건 언어적인 차이라고 볼 수 있다.

 

 


1. 에냥

 

2. 행복

 

3. 냥수

 

4. 냥디

 

5. 코코

 

6. 보리

 

7. 하나

 

8. 로키

 

9. 레오

 

10. 루루

 

11. 이찌

 

12. 메밀

 

13. 나나

 

14. 페니

 

15. 모모

 

16. 몰리

 

17. 루비

 

18. 초코

 

19. 두부

 

20. 미로

 

21. 엘리

 

22. 모카

 

23. 로또

 

24. 타로

 

25. 릴리

 

26. 모찌

 

27. 나비

 

28. 나라

 

29. 로라

 

30. 쥬디

 

31. 망고

 

32. 찰리

 

33. 구슬

 

34. 동백

 

35. 순둥

 

36. 타이

 

37. 별이

 

38. 한글

 

39. 바람

 

40. 소피

 

41. 루시

 

42. 보름

 

43. 루나

 

44. 묘묘

 

45. 햇살

 

46. 바다

 

47. 녹차

 

48. 미미

 

49. 버터

 

50. 재롱

 

 

 


고양이한테 각인시키는 것도 있고 주인도 매일 불러야 하기 때문에 처음부터 이름을 확실히 잘 정해주는 것이 좋겠다. 아시아에서 애완동물 이름으로 제일 인기가 많은 이름 중에 하나가 '코코'이다.

"코코야~"라고 하면 지나가는 애완동물 중에 한 마리 정도는 쳐다볼 수도 있다.

해서 명시된 이름도 좋지만 응용해서 만드는 것이 더 좋을 것이다. 이런 부류도 있는데 대표적인 고양이 이름에 자신의 '성'을 붙여서 부르는 경우이다.

예를 들어서 '코코'이면 '김코코~'라고 부르는 것이다. 꼭 본인의 성이 아니어도 되는데 자신의 성을 붙이는 게 좀 더 정감 가는 건 어쩔 수 없다.

또한, 여러 방면으로 응용은 가능하다. '재롱'으로 선택한다면 '째롱아~' 이렇게 응용해서 고양이의 이름을 작명할 수 있다. 기왕이면 다른 사람들과 중복되지 않는, 나만의 고양이 이름을 지어주는 것이 좋을 것이다.

행여나 전여친, 전남친의 이름으로 짓진 말자. 정서적(?)으로 안 좋고 나중에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