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함묵증 선택적 함구증 무언증 증상 및 원인 정리

기타

by 힘들때전화해 2022. 6. 11. 20:36

본문

반응형

 

"선택적 함묵증에 대해 알고 싶어요." QnA

 

< 질문 >


확실히는 모르겠지만, 증상을 살펴보니 저는 어릴 때부터 함묵증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

가정폭력이 있었고 부모님이 말을 하지 말라며 억압한 것도 있어요.

그렇게 학창 시절은 친구들과 거의 어울리지 못하고 친구 한 명 없이 지냈습니다.

근데 성인이 되고 이제 독립하고 밥벌이를 해야 하다 보니까 문제가 생기더라고요...

저도 그러고 싶지 않은데 일을 하면 부모님을 연상케하는 권위적인 사람 앞에서는 말이 도저히 안 나옵니다.

말을 하고 하려고 해도 말이 안 나와요.

이게 선택적 함묵증이라 하는 것 같더라고요.

그래서 제가 선택적 함묵증인지 이에 대해 알아보고 싶습니다.

 

 

< 답변 >


선택적 함묵증, 함구증, 무언증 등으로 불리는 불안 장애의 일종입니다. 보통 아동기에 발생하는데요. 이는 지능에 장애가 있거나 언어를 모르거나 발성, 발음기관 등 기능적인 장애가 없는데도 특정한 대상이나 상황에서 말을 하지 않는 증상을 보입니다. 질문자님이 보이는 증상과 매우 흡사하죠.

 

 

특정 상황, 특정 대상에 대한 두려움과 강박, 분노, 심한 부끄러움, 사회적인 위축 등등이 일어납니다. 해서 말을 못 하는 병이라고 하면 '실어증'도 있는데 실어증과 함묵증은 전혀 다릅니다.

실어증의 경우는 언어기능을 담당하고 있는 뇌 부위가 문제가 생겨서 언어기능이 저하된 것을 말합니다. 하지만 함묵증은 언어기능에 문제가 없는데 정신적인 문제로 인해 발생되는 즉, 심리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정신적 언어장애'라고 합니다.

실어증은 기능적 언어장애이고 함묵증은 정신적 언어장애라고 할 수 있겠죠.

 

 

그리고 '선택적'이라는 건, 말 그대로입니다. 앞서 계속 말했듯이 '특정' 상황이나 대상 앞에서만 말을 못하는 증상이 발생하는 것이죠.

예를 들면 아이가 집에서는 말을 잘하는데 학교에 가면 말을 하지 않는 것도 있고 반대로 학교에서는 말을 잘 하는데 집에서는 말을 하지 않는... 이러한 것입니다.

'원인'이라고 한다면, 아직 명확히 밝혀진 바는 없지만 이 또한 앞서 말했듯이 '불안'과 가장 연관성이 높다고 해요. 즉, 불안을 느끼게 하는 무언가로 인해서 발생된다는 것이죠. 불안증의 종류는 워낙에 다양합니다. 

 

 

다만, 역시 가정환경, 가정교육에서 연관이 깊다는 내용이 많습니다. 부모가 엄하게 키웠다거나 강요한다거나 억압했다거나 과잉보호를 한다거나 부모가 너무 부정적이거나 일반적이지 못하고 독특한 사상을 너무 아이에게 주입하는 것 등등 가정교육 및 환경의 영향이 상당하다고 합니다.

어릴 적부터 증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이를 부모가 빠르게 캐치해야 하는데 질문자님의 경우는 가정환경이 매우 좋지 않았기 때문에 불가능한 일이었고 실상 함구증이 있는 아이들의 부모가 이를 캐치하고 바로잡기는 어렵다고 합니다. 그게 가능했다면 애초에 아이가 함구증에 걸리지 않았겠죠.

치료는 가능하다고 하는데 기간이 오래 걸린다고 합니다. 아이들의 경우는 놀이를 통해서 개선한다고 하는데 성인의 경우는 상담치료가 필요하다고 하네요. 자신을 이해하려는 노력이 많이 필요하다고 해요. 그러려면 내 안의 모든 것을 꺼내놓아야 해서 상담치료가 필요한 것이겠죠.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